로드(Rod)는 루어(Lure) 낚시 장비에 있어 릴(Reel)과 함께 가장 기본적인 장비中 하나이며、초심자에게 가장 쉬운 표현으로는 낚시대라 생각하면 됩니다。

로드는 우선 내가 잡을 대상 어종에 맞는 로드를 선택하는 방법도 있지만、로드를 어종에 맞춰 사게 되면 한도 끝도 없이 늘어나는 것이 장비와 그와 비례하는 비용 입니다。이를 막고자 하는 것이 장비를 보는 방법인데 명칭만 보더라도 50%이상은 장비의 능력을 알 수 있기에 범용대를 선택하여 막대한 자금을 막는 것 또한 방법입니다。물론 특정 어종(’가물치’와 같이 ’XXXH’대를 사용하거나、’꺽지’나 ’쏘가리’ 처럼 ’UL’ or ’L’대를 사용 하는 경우 등)에 발달되어 있는 장비의 경우 별도로 구매하는 것이 좋지만 대부분은 몇몇 종류의 로드만으로 범용이 가능하며、민물과 바다 정도만 나눠주면 좋습니다。



로드의 종류(Reel Type)


로드는 어종에 따른 분류도 있지만、릴 타입에 따라 먼저 2종의 로드로 분류된다。두 종류의 로드의 가장 큰 차이점으로 스피닝로드는 릴이 로드 하단으로 장착되기에 라인을 정렬해주는 가이드가 밑으로 가있고、베이트캐스팅로드는 로드 상단으로 릴이 장착되기에 가이드가 위쪽에 달려있으며 캐스팅시 로드에 제대로 힘을 전달하기 위해 스피닝로드에 장착된 릴의 다리와 같은 역활을 하는 트리거가 있다。


어종

비거리

정확성

섬세함

감는 힘

스피닝 릴+로드

작음

짧음

낮음

높음

낮음

베이트 릴+로드

높음

낮음

높음


  • S(스피닝로드/Spinning Rod)그 시작은 유럽에서 넘어온 방식의 로드이며、좀 더 섬세한 테크닉을 요구하는 소프트베이트[각주:1]를 주로 사용하며、작은 루어를 사용하는 피네스 피싱[각주:2]에 많이 쓰이지만 사용이 비교적 간단하여 낚시의 입문용으로 손쉽게 다루는 장비이다。하지만 캐스팅시 착수 위치의 정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많은 노력과 연습이 필요하다。(좌핸들이 기본이면 좌우 변칙이 가능하다)

  • B or C(베이트캐스팅 로드/Baitcasting Rod)통칭 장구통릴이라는 표현되며、배스낚시의 종주국이라 할 수 있는 미국에서 발달하였다。베이트 로드의 정식 명칭은 ’베이트캐시팅 로드’이며 명칭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주로 하드베이트[각주:3]를 많이 사용한다。정확한 장거리 캐스팅에 유용하며 비교적 중량이 있는 루어를 사용한다。캐스팅시 웜이 착수하는 순간에 페더링을 해줘야 한다는 단점 때문에 초심자 운용이 힘들지만 익숙해지면 사용은 스피닝릴에 비해 수월하다。야간 캐스팅 시에는 착수 확인이 어렵기에 낮에 많이 연습하여 감을 익혀두는 것이 좋다。주로 배스낚시에 많이 사용된다。(우핸들과 좌핸들 모델이 따로 있다。)



로드의 휨새(Taper Action)


로드 액션을 뜻하며、블랭크를 8등분하여 휨새의 위치에 따라 6가지로 분류한다。패스트(Fast)에 가까울 수록 탑가이드에서 휘고、슬로우(Slow)에 가까울 수록 릴 시트 부근에서 휜다。

  • EF(엑스트라 패스트/Extra Fast):탑가이드 주위만(⅛)휘며 지깅낚시대 드에 쓰이나、고감도 배스로드에도 사용。
  • F(패스트/Fast):¼정도 휘며 지그헤드 채비나 노싱커 등에 쓰이며 바닥지형、입질파악에 유리하고 감도위주의 배스낚시에 사용된다。
  • MF(모더레이트 패스트/Moderato Fast):탑가이드에서 부터 ⅜정도 휘며、소형미노우나 스피너베이트에 사용된다。
  • R(레귤러/Reguler):탑가이드에서 부터 ½정도 휘며、미노우、바이브、크랑크베이트 등、리트리버를 위주로하는 루어대에 적용。
  • M(모더레이트/Moderato):탑가이드에서 부터 ⅝정도 휘며、포퍼와 같이 탑워터를 사용하는 로드에 적용。
  • S(슬로우/Slow):전체적으로 휘며、플라이 로드、소형 락피쉬용으로 울트라라이트 로드에 사용한다。

패스트(Fast)에 가까울 수록 고탄성 카본을 사용한 블랭크를 사용해 감도가 뛰어나、주로 웜낚시에 사용。

슬로우(Slow)에 가까울 수록 저탄성 카본을 사용한 블랭크를 사용해 루어 운용시 좀더 자연스러움을 연출할 수 있고、배스의 루어흡입도 좀더 용이하다。

따라서、감도가 중요한 웜 채비에는 Fast 타입의 로드、루어의 자연으러운 움직임 연출이 필요한 하드베이트 채비에는 Slow 타입의 로드가 유리하다。

탑워터 운용시 패스트(Fast)타입과 같은 뻣뻣한 로드를 사용할 경우 로드팁이 루어의 좌우 움직임을 방해해 부드러운 액션보다는 딱딱 끊기는 액션이 나오게 되나、슬로우(Slow)타입의 로드의 경우 로드팁이 일정부분 루어를 따라 가면서 휘기 때문에 훨씬 자연스러운 액션이 나오게 됨。

또한 스피너베이트와 같은 와이어베이트에는 모더레이트(Moderato)타입의 로드가 유리하다。



로드의 강도(Power Action)


말그대로 로드의 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로드가 어느정도 까지의 힘을 견딜수 있는냐 혹은 얼마 까지 무게의 루어를 캐스팅 할 수 있는냐를 나타내는 것임。

각 제조회사마다 조금씩 다르기는 하나 일반적으로 분류는 다음과 같은 정도로 한다。

  • UL(울트라 라이트/Ultra Light):1/32~1/8 oz Lure、4~8Lb Line 적용。
  • L(라이트/Light):1/16~3/8 oz Lure、6~10Lb Line 적용。
  • ML(미듐 라이트/Medium Light):1/16~1/2 oz Lure、8~15Lb Line 적용。
  • M(미듐/Medium):1/8~5/8 oz Lure、10~20Lb Line 적용。
  • MH(미듐 헤비/Medium Heavy): 3/8~1 oz Lure、12~25Lb Line 적용。
  • H(헤비/Heavy):1/2~1.5 oz Lure、15~30Lb Line 적용。
  • EH or XH(엑스트라 헤비/Exter Heavy):。

일반적으로 스피닝 로드에는 UL~M、베이트 로드에는 M~MH 정도를 사용한다。



길이와 피스(Length & Section)



라인과 루어(Line & Lure)



라인(Line):

4lb(1.814Kg)/1호(직경:0.165mm)

5lb(2.267Kg)/1.25호(직경:0.190mm)

6lb(2.721Kg)/1.5호(직경:0.205mm)

7lb(3.175Kg)/1.75호(직경:0.219mm)

8lb(3.628Kg)/2호(직경:0.235mm)

10lb(4.535Kg)/2.5호(직경:0.260mm)

12lb(5.443Kg)/3호(직경:0.285mm)



물론 비싸고 이름 있는 장비가 가장 좋지만…、당연히 프로 앵글러에겐 장비가 중요합니다。장비의 작은 차이가 큰 차이의 결과를 만들어냅니다。하지만 필자의 생각으로 사람이 최고의 장비이기에 초급자에겐 사람75%와 장비10%、운빨15%입니다。오로지 연습과 노력으로 이루어지는 성과이기에 정말 Cheat Key 없는 실력으로 노가다 없이는 조과는 바라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앞서 말한 부분들은 로드의 스펙표기를 다룬 내용이지만、사람들마다 선택의 기준은 다릅니다。중요한 것은 로드의 감도、반발력、가이드、탄성、디자인、가격 등이 있습니다。물론 이런 내용들은 나중에 천천히 다룰 것이며、지금까지 가장 기본 중에 기본을 알아봤습니다。


Reduced Resistance 가이드、Low Modulus。



  1. Soft Bait:고무의 일종일 러버 계열로 작은 물고기나 지렁이、곤충、개구리 등을 모형을 본떠 만든 통칭 웜을 말한다。 [본문으로]
  2. Finesse Fishing:가볍고 작은 루어와 가는 낚싯줄을 사용해 과다한 피싱프레셔(Fishing pressure)로 약아진 배스를 낚는 방법으로 발전되었다。배스낚시에서는 거의 생각하지 못하던 4~8파운드 정도의 낚싯줄과 4인치 이하의 웜으로 스플릿샷이나 다운샷 리그 방식을 구사한 것이 그 사례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본문으로]
  3. Hard Bait: [본문으로]

'Ⅰ。My Hobby > 2。루어 낚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급자]낚시 용어。  (0) 2017.06.04
Posted by ケイ君

낚시를 하다보면 흔하게 듣는 말이지만 잘 모를 경우 무슨 이야기를 하는 것인지 알 수 없다는 것이 현실。물론 필자도 루어 낚시 5년차의 초보입니다。가끔 지인들과 짬타임을 이용하기 때문에 많이 알지는 못하며、인간의 기억 용존량과 기억의 수명을 맹신하지 않기에 필자 또한 초심자이기 때문에 기록을 남기는 것입니다。



조사:낚시를 하는 사람。(=앵글러/Angler)

조황:낚시질이 잘되고 않되는 현황。

조과:낚시로 물고기를 낚은 성과。

출조:낚시를 하러가는 행위。

채비:낚시를 하기위한 필요한 물품。

(낚시대、낚시줄、찌、바늘 등、모든 낚시용을 채비라고 할 수 있다。)


:물고기가 바늘을 물었을때의 상황을 낚시인들한테 전달하는 역활을 하는 채비。

봉돌:낚시 바늘을 원하는 수심층까지의 수중낙하를 돕는 채비。

원줄:낚시대 끝에서 낚시바늘을 연결해주는 목줄까지의 낚시줄。

목줄:낚시바늘을 매어 원줄에 이어주는 줄。

(원줄의 보호 역활로 원줄보다 강도가 약하게 사용하며、대어를 낚아 낚시줄이 버틸 수 없는 상활에 목줄만 끊어져 원줄과 전체채비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떡밥:수중에서 분말형태를 낚시바늘에서 빨리 풀어지는 밑밥。

(낚시를 할 때 물고기의 집어효과를 도와주는 집어제작용을 한다。)

미끼:수중에서 끈적거리며、낚시바늘에서 잘 풀어지지 않는 밑밥。

(오랫동안 기다리는 낚시를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루어:인조미끼를 말한다。



다대편성:자연지(노지)에서 낚시대 여러대를 펴 놓고 하는 낚시를 뜻한다。

대물:바다낚시에서는 큰물고기를 뜻한다。민물낚시에서는 자연지(노지)에서 다대편성으로 하는 낚시를 대물낚시라고도 한다。

대물낚시=다대편성 낚시。

월척:주로 붕어낚시에서 쓰이는 말로 큰물고기를 뜻하며、머리부터 꼬리지느러미까지 크기가 30.3cm 이상인 붕어를 말한다。

사슬채비:채비의 한 종류로 붕어가 먹이를 흡입할 때、이질감을 최소화하여 자연스럽게 미끼를 흡입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캐스팅:낚시채비를 원하는 포인트에 던지는 행위를 말한다。

릴링(리트리브):릴을 감는 행위를 말한다。

(릴을 감으면、낚시줄이 감기고 미끼가 물속에서 움직이므로 ”릴링”은 곹 미끼를 움직여주는 방법을 뜻하기도 한다。)

앞치기:주로 장대 캐스팅을 일컷는 속어다。

(몇 년전에만 해도 장대 캐스팅은 앞치기보다 스윙 또는 낚시대는 내려놓고 줄과 봉돌 윗 부분을 잡고 던지는 식으로 낚시를 해왔다。하지만 낚시대의 경랼화와 높은 탄성의 낚시대의 출시 이후 많은 낚시매니아들이 6.0칸 대까지 앞치기를 하며 장대 앞치기에 열광하고 있다。)



루어낚시:낚시줄에 인조미끼를 달아서 물고기를 유인하는 낚시。

(민물에서는 주로 배스、바다에서는 농어、부시리、우럭 등 여러 어종의 낚시에 사용된다。)

찌낚시:릴 낚시대를 이용하여、찌를 멀리 던져 물고기가 씨를 물었을 때 신호를 보고 낚는 낚시。

원투낚시:무거운 봉돌을 달아 몇십미터 이상 던진 후에 봉돌을 바당에 가라 앉게하여 바닥에 있는 물고기를 낚시。



쇼어:Shore라는 뜻 그대로 해변가 바닷가에서 하는 낚시。

인쇼어:Inshore는 연안 혹은 얕은 바다를 뜻하지만、바다용 뜻하거나、선상용을 뜻하기도 한다。

지깅:배를타고 나가 깊고 물살이 센 바다에서 무거운 메탈지그를 사용하여 고기를 잡는 낚시。

에깅



배수기:5월 중순이 지나면 모내기 철로 접어들면서 거의 모든 저수지에서 못자리에 물을 대기 위하여 물을 빼기 시작한다。이때부터 장마철 첫비가 내리기 전까지 이른바 배수기라 한다。

갈수기:하천의 유량이 감소하는 시기로、여름철의 가뭄과 겨울철의 적설、결빙으로 인해 발생한다。



'Ⅰ。My Hobby > 2。루어 낚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급자]루어 로드 선별하기。  (0) 2017.06.15
Posted by ケイ君
Ⅰ。My Hobby/6。GamerZ2017. 4. 14. 16:41

Ⅰ。파충류(爬蟲類、Reptiles)


파충류도 일부는 수륙양용이 가능하며、’아크 서바이벌 이볼브드’(ARK:Survival Evolved/이하 ’아크’)초반 테크에 나름 유용한 생물들이 있습니다。초반 방어를 와해시키거나、대인 공격에 사용 가능한 생물들이 있습니다。모두가 자원 채집을 위해 사냥하는 카르보네미스의 경우 조련과 각인으로 방어력 상승이 가능하여、후반에 몸빵 생물로 상대의 탄환 소진용으로 로켓터렛 등의 앞에 투하시켜 폭발 데미지를 나눔 할 수 있습니다。









Ⅱ。양서류(兩棲類、Amphibians)


양서류의 경우 기본적으로 수륙양용으로 이동에 제약이 적음 편이며、아크의 중후반 테크에 건설 및 제작에 필요한 자원 생성이 가능합니다。







자료:ARK Gamepedia、나무위키






Posted by ケイ君
Ⅰ。My Hobby/6。GamerZ2017. 4. 14. 16:36

Ⅰ。조류(鳥類、Birds)


’아크 서바이벌 이볼브드’(ARK:Survival Evolved/이하 ’아크’)에서 날짐승은 최고의 이동 수단이었으나、v256 업데이트 이후 업데이트라 쓰고 너프라 읽게 되었습니다。더이상 이동 속도를 스탯(Statistics)을 줄 수 없기에 이동 속도의 한계가 있다보니 육상 생물로 전향하는 유저들도 늘고 있습니다。하지만 아크의 경우 센드박스형 오픈월드 게임이기에 자원의 수급은 발전에 영향을 주며、특정 자원 수급을 위해 원거리 이동을 하는 경우도 많은데、자원을 많이 들고 있을 경우 이동 속도가 떨어지다 보니 육상 이동이 위험 할 수도 있어 날짐승의 테이밍은 필 수 입니다。

그래도 너프 이후 한가지 개선된 점이 있다면 공중생물도 일부를 제외하곤 육상에서 공격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Ⅱ。익룡(翼龍類、Pterosauria:Reptiles)


ARK Gamepedia 사이트에선 파충류(Reptiles)로 분류되어 있습니다。익룡류는 조류와 달리 디모르포돈을 제외하곤 모두 공중 생물로 특화되어 있으며、대부분 전투에 필요한 생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자료:ARK Gamepedia、나무위키






Posted by ケイ君

포유류(哺乳類、Mammals)


대부분 현존하는 생물들과 유사해게 생긴 경우가 많고、유용한 특수 기능 가진 생물도 많습니다。

육상 생물 中 공룡 다음으로 가장 많은 개체 수를 자랑하며、생물종 中 특수 기능이나 이동성을 고려해 지상 이동 요세의 생체 건축물로 유용한 개체도 있습니다。






















자료:ARK Gamepedia、나무위키




Posted by ケイ君

단궁류(單弓類、Synapsids)


단궁류는 포유류형 파충류로、포유류의 조상과 현생 포유류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아크에서는 특수한 능력을 갖고 있는 NPC가 많은데、’아크:서바이벌 이볼브드’(ARK:Survival Evolved)의 단궁류들은 v232.0 이후에 추가 되어 특수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자료:ARK Gamepedia、나무위키







Posted by ケイ君

Ⅰ。공룡(恐龍、Dinosaurs)


’아크:서바이벌 이볼브드’(ARK:Survival Evolved/이하 ’아크’)에서 개체 수가 가장 많은 종으로、플레이어들에게 공룡 테이밍에 대한 매력을 느끼게 하고、아크를 있게한 장본인 이기도 합니다。순차는 서비스 오픈부터 업데이트 순으로 올립니다。






























Ⅱ。공룡 알파종(Alpha Predators)


아크에 존재하는 필드 보스라 생각하면 됩니다。특징으로 동일 개체에 비해 짙은 붉은 색을 띄며、몸집은 약간 큰편입니다。이동 속도와 공격력 또한 상위 개체에 웃돌기 때문에 만전에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면 피하는 것이 상책입니다。하지만 준비된 자에겐 상당한 경험치와 ’Bone helmet skin’、가장 쉽게 구분하는 방법은、몸 주위에 붉은 색의 아우라(Aura)를 발하는데、낮보다는 밤에 빛이 나기에 멀리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그래픽 中옵션 이하의 경우 아우라 발현이 안될 수 있기에 색상으로 구분해야 합니다。)







자료:ARK Gamepedia、나무위키






Posted by ケイ君
Ⅰ。My Hobby/6。GamerZ2017. 3. 22. 20:52

최근에 시작한 게임으로 ’아크:서바이벌 이볼브드’(ARK:Survival Evolved/이하 ’아크’)입니다。


언리얼 엔진[각주:1]4를 사용하는 게임으로 상당한 고퀄리티의 그래픽을 자랑하지만、극악의 최적화로 최소 20GB의 게임용량(’싱글 플레이’이나 ’개인 서버’ 구동 및 모드 설치시 40~100GB이상 요구)과 최고 사양의 그래픽 카드를 요구합니다。이전 세대의 그래픽 카드로 上옵션 그래픽을 즐기려면 ’프레임 저하’ 및 캐릭터의 ’슬로우 모션’은 셋트 메뉴로 즐기셔야합니다。(여담으로 ’GeForce GTX TitanX’로도 풀옵션 구동시 약간의 프레임 저하가 있다고 합니다。)


본 게임에서 플레이어는 의문의 섬에 떨어진 생존자를 컨트롤하여 월드 내에서 생존해 나가는 게임으로(제작사에서 현실성을 표현하려는 것인지…。)、아이템 제작이나 건축을 위해 재료를 수집、채집、벌목、채석、채광 및 수렵、낚시 등을 통해 얻을 수 있습니다。게임 내에서는 채집 중 얻은 씨앗으로 농작물을 기르거나、벌목이나 채석、채광을 통해 얻은 재료로 건축을 하거나、생물을 사냥하는 등、상당히 자유도가 높은 게임이지만、뭐니뭐니 해도 이 게임의 진정한 매력은 이미 멸종한 공룡이나 그 시대의 생물종을 수렵하거나、테이밍(Taming)하여 부릴 수 있으며、이들 中 대부분 타고 다닐 수 있는데、이 또한 높은 자유도에 의해 육상생물、수중생물에 이어 공중생물까지 수상[각주:2] 가능합니다。


오픈월드 형식의 ’샌드박스[각주:3]게임으로 서바이벌과 RPG’적인 요소가 가미된 게임으로、월드 내에서 높은 자유도와 상당한 노가다를 요구하는 게임입니다。장르를 말하자면 ’1인칭 서바이벌 액션 어드벤쳐 RPG…。’。현재 정식 버젼이 나온 것은 아니고 ’Early Access Ver.’이라 하여 정식 출시 전에 미리 해보기 버전입니다。




아크:서바이벌 이볼브드。(ARK:Survival Evolved)

2015Y/06M/02D:테스트 서비스 오픈。

2016Y/06M:PC/XBOX ONE/PS4 정식오픈。




아쉽게도 본 게임은、현재 한국은 지역락[각주:4]이 걸려있는 상태이며、PC게임은 ’스팀[각주:5]’을 통해 서비스를 진행 중이며、콘솔[각주:6]로는 ’XBOX ONE’과 ’PlayStation 4’를 통해 접할 수 있습니다。(콘솔 역시 지역락이 걸려 있는 상태。)하지만 아직 한국에서는 정식으로 서비스 오픈이 되지 않은 상태이며、국내에서는 ’스네일게임즈[각주:7]’ 통해 2017년 1월에 사전예약을 통해 무료배포 되었으며 계정을 만들고 런처를 받아 플레이하는 방식으로、스팀처럼 개인 서버 생성은 불가하고、몇개의 지정된 공통서버를 통해 플레이하며 부분 유료화입니다。




아크:서바이벌 오브 더 핏테스트。(ARK:Survival of the FitTest)



스팀을 통해 구매한 아크의 경우 ’아크:서바이벌 오브 더 핏테스트’(ARK:Survival of the FitTest/이하 ’핏테스트’)도 다운로드가 가능한데、핏테스트는 이름처럼 ’적자생존’(適者生存)。즉、’배틀로얄’(Battle Royale)이라 생각하면 됩니다。본래는 아크의 모드게임[각주:8]인데、서비스 차원으로 정식 출시되어 아크 구매시 무상 재공되는 서비스팩입니다 。



개인적인 소견으론 추천입니다。

물론、앞서 말씀드렸지만…。고사양의 컴퓨터와 노가다는 기본사양입니다…。

필자도 이전 세대의 ’Core-i7’、이전 세대의 ’Radeon X9XX’、이전 세대의 ’SSD’로 구동중이지만 中옵션 입니다。물론 정말 좋은 그래픽도 좋지만…。프레임 수가 떨어지거나、속도가 떨어지는 것이 더 피곤하기에 상큼하게 그래픽을 포기 했습니다。게임내 권장 메모리는 6~10GB입니다。조건을 충족하지 못 할 경우 게임을 플레이 하는 중간에 ”메로리가 부족합니다。”라는 에러 메시지와 친숙하게 되는데、게임 역시 튕기게 되고、게임 진행 사항 역시 저장되지 않아 멘탈도 튕겨버립니다…。




  1. Unreal Engine:미국의 에픽 게임스에서 개발한 3D 게임 엔진。강력한 그래픽 성능과 편리한 인터페이스 등을 장점으로 하여 약 20여년 전부터 지속적으로 버전업되며 게임 엔진 산업을 주도하고 있다。 [본문으로]
  2. 獸上:마상(馬上戰鬪)처럼 월드 내에 등장하는 생물을 타는 행위。 [본문으로]
  3. Sand Box:‘샌드박스’(or ‘Open World‘)는 미국의 가정집 뒤뜰에서 어린이가 다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만든 모래통에서 유래하였으며、높은 자유도를 기반으로 다양한 플레이 패턴(Pattern)을 만들어낼 수 있는 게임을 뜻한다。 [본문으로]
  4. Regional Lockout:지역별 제한(or ’Region Coding’)으로 구매 제한、등록 제한、실행 제한、언어 제한 등으로 특정 지역이나、국가에서 유통사의 이익이나、문제시되는 소재、심의 등의 이유로 유통이 되지 않는 것。 [본문으로]
  5. Steam:Valve Corporation 에서 개발한 인터넷 기반 게임 접속 플랫폼입니다。 [본문으로]
  6. Video Game Console:비디오 게임기。 [본문으로]
  7. Snail Games:중국계 게임 퍼블리싱 회사。 [본문으로]
  8. Mod Game:모드(Mod、Modification의 준말)란?이미 완성된 컴퓨터 게임의 일부를 수정해 새로운 게임으로 만드는 것을 말합니다。이런 수정 행위는 단순히 아이템이나 캐릭터를 바꾸기도 하고、레벨이나 레벨의 목표、심지어는 게임의 규칙까지 변경해 원본 게임을 완전히 새로운 게임으로 만들기도 합니다。 [본문으로]
Posted by ケイ君
Ⅰ。My Hobby/3。BMX2017. 3. 5. 14:47




Title:Best Line Bike Contest Returns。

Song:Evangelos-Forward

Posted by ケイ君
Ⅰ。My Hobby/3。BMX2017. 3. 5. 14:41




Title:Danny MacAskill-Imaginate

Team:RedBull

Player:Danny MacAskill

Song:Houston-Runaway

Posted by ケイ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