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싱(Racing)
원래 BMX의 원어 뜻이 바이시클 모터크로스(Bicycle Motocross)라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듯이、처음에는 비포장 도로로 된 트랙을 속도 경기하는 용도로 시작된 것이 BMX입니다。점프대와 급커브가 조합되어있는 트랙을 8명 내외가 동시에 출발하는 이종목은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BMX인구를 자랑합니다。여성과、어린이、등도 나이별로 나뉘어 시합을하며、20인치(inch)와 24인치(inch) 크루져(Cruiser)부분 으로 다시 나뉩니다。
레이싱 바이크의 특징。
속도를 내는것이 최대목표인 레이싱 모델은、우선 4130 크로몰리(Chrome Molybdenum Steel)가 주류를 이루는 프리스타일 바이크(Freestyle Bike)와는 달리 신소재(6061 Alloy、7000 Series Alloy、Carbon、Titanium)로 프레임을 만들어 경량화 되었습니다。브레이크 또한 현재 추세인 ’V’브레이크를 주로 뒷쪽에만 장착하여 사용됩니다。기어 비율은 F44:R16을 기본으로 트랙의 여건에 따라 교환하여 사용하는 추세입니다。휠은 강도와 경량화를 함께 얻기위해 36홀 또는 32홀이 주로 사용됩니다。타이어는 비포장 도로에 적합한 접지력이 좋은 트레이트 무늬(Trait Patterns)가 뚜렷한 모델이 상용되며、앞쪽에는 코너링을 위해 2.125사이즈가 뒤쪽에는 가속력을 위한 1.75 사이즈 타이어가 주로 사용됩니다。핸들바는 무게가 가벼운 2피스 타잎이 주로사용되며 핸들의 중간 파이프 부분(Cross bar)과 탑파이프 부분에는 스폰지로 된 패드를 부착하여 안전을 돕습니다。
플랫랜드(Flatland)
평지에서 정해진 시간안에 여러 연결된 동작을 보여주는 종목으로、체조의 마루운동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트릭은 크게 스커핑 트릭(Scuffing trick:타이어를 발로 밀면서 주행 또는 회전하는 트릭)、롤링 트릭(Rolling trick:앞바퀴나 뒷바퀴만으로 주행하면 중심을 잡는 트릭)、스트랭스 트릭(Strength trick:핸들이나 안장등에 몸을 지탱하며 버티면서 주행하는 트릭)、홉핑 트릭(Hopping trick:앞바퀴나 뒷바퀴만으로 제자리에서 뛰는 트릭)、스피닝 트릭(Spinning trick:앞바퀴나 뒷바퀴만으로 적은 원을 그리며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트릭)、등으로 나뉩니다。
플랫랜드 바이크의 특징。
탑파이프와 휠베이스가 짧아 다루기 편한 프레임이 사용됩니다。요즘추세는 스템의 길이와 포크에 앞바퀴가 부착되는 위치까지 짧아지는 추세입니다。핸들은 안쪽으로 들어온 스윕(SWEEP)각도가 0도에 가깝고、높이가 7인치(inch)내외의 낮은 핸들이 주로 사용됩니다。타이어는 한바퀴로 주행되는 트릭이 많은 이유로 100기압 이상 공기압을 버틸수있는 고압타이어가 사용되면 타이어 무늬는 스커핑 트릭(Scuffing trick)에 적합한 슬릭(Sleek pattern)에 가까운 무늬를 가진 타이어가 주로 쓰입니다。안장은 주로 손으로 잡고 중심을 잡는데 사용되므로、앞쪽과 뒷쪽을 손으로 잡기편하게 디자인된 모델이 주로 사용되며、전체가 프라스틱으로 된 길이가 짧은 모델이 애용됩니다。페그는 장시간 발바닥이 닿아 중심을 잡기위해、지름이 굵고 잘 미끄러지지 않는 널링(Knurling:많은 사선 무늬가 가공)가공 된 알루미늄 재질이 주로 사용됩니다。앞크랭크는 주행 보다는 여러 트릭시 간섭을 피하기 위해 다소 길이가 짧은(165mm 내외)모델이 애용됩니다。크랭크(Cranks)、스프라켓(Sprocket)역시 잇수가 적은 ’32T’나 ’34T’가 주로 사용됩니다。플랫랜드 바이크의 가장 큰 특징은、프리코스터(Freecoster)가 거의 모두 장착되어 있습니다.
프리코스터(Freecoster)란。바이크가 뒤쪽으로 주행하는 트릭을 할 때、일반 프리휠 이 부착된 휠은 크랭크가 따라 돌아가지만、프리코스터는 뒷쪽으로 반바퀴정도 돌려주면 허브안쪽의 클러치가 분리되어 휠의 움직임에 따라 같이 움직이는 것을 막아주는 역활을 합니다。
램프(Ramp)
나무 또는 철판으로 된 인공적인 곡면을 이용해 공중에서 여러동작을 보여주는 이 종목은、BMX종목 중 가장 위험하고 스릴있는 종목으로、바이크 또한 이러한 용도에 적합하게 제작되어 있습니다。트릭은 램프의 모서리 부분을 페그를 순각적으로 걸치고 미끄러져가는 그라인더트릭(Grinder trick)、바이크의 차체만을 회전시키는 테일윕(Tail whip)、두손 두발을 각각 또는 동시에 바이크에서 분리하는 트릭(?)、바이크와 라이더가 동시에 회전하는 540Air、900Air、뒷쪽으로 바이크와 라이더가 동시에 360도 회전하는 플립(Flip)기술등이 있습니다。
램프 바이크의 특징。
공중 동작의 안정감을 위해 탑파이프가 20인치(inch)이상인 좀 더 긴 프레임이 사용되며、타이어 또한 100기압 이상을 견디는 고압타이어가 주로 사용됩니다。안장은 쿳션이 좋은 패드 소재의 면에 큰 충격을 견딜수 있게 안장 레일이 오버사이즈 되는 추세입니다。허브(Hub)또한 축의 지름이 14mm 또는 1/4 인치(inch)지름을 가진 오버사이즈가 주로 사용됩니다。허브 또한 베어링이 오버사이즈 되며 실드베어링(Sealed Bearing)이 양쪽에 2개씩 장착된 허브도 선보이고 있습니다。페그(Pegs)는 발로 밟는 용도 보다는 레일 등에 그라인더를 주로 하는 이유로 지름이 적고 잘미끄러지는 무늬가 가공된 모델이 애용됩니다。재질 또한 큰 강도를 견디기 위해 스틸로 된 모델이 주류입니다。
더트점프(Dirt Jump)
말그대로 흙으로 만든 점프대를 이용해서 점프를 하며 공중 동작을 보여주는 종목입니다。예전에는 레이싱 종목의 이벤트성 종목이었지만、그인구가 90년대 들어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각 메이커 에서는 더트점프(Dirt Jump)모델을 주 모델로 삼는 경우도 있습니다。램프에서 할 수 있는 모든 트릭을 직선으로 설치된 흙 점프대를 이용해서 하며、미국에서는 현재 프리스타일(Freestyle)인구중 60%가 더트점프(Dirt Jump)라이더라는 조사 내용도 있습니다。
더트점프 바이크의 특징。
레이싱(Racing)과 램프라이딩(Ramp)모델의 특성을 혼합한 더트점프(Dirt Jump)모델은 긴 휠베이스와 2피스 핸들바가 주로 장착되어있습니다。타이어는 레이싱 타이어에 강도를 더한 모델이 주로 사용되며、레이싱과 마찬가지로 오프로드(Off-road)에 적합한 무늬의 모델이 사용됩니다。브레이크(Brake)는 프리스타일(Freestyle)에서 주로 사용되는 U브레이크가 뒷쪽만 장착되어 주로 사용됩니다。더트점프(Dirt Jump)라이더 중에서는 레이싱모델과 프리스타일모델 한쪽에 치우친 모델을 사용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Ⅰ。My Hobby > 3。BMX' 카테고리의 다른 글
[U.Tube]Best Line Bike Contest Returns。[by GoPro] (0) | 2017.03.05 |
---|---|
[U.Tube]Danny MacAskill Imaginate。[RedBull] (0) | 2017.03.05 |
BMX에 입문하려는 사람들에게…。 (0) | 2017.01.04 |
’BMX、Trial、Urban’의 차이점…。 (0) | 2017.01.04 |
[WTP:we the people]VERSUS 2011、필자 BMX의 제원。 (0) | 2017.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