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My Hobby/3。BMX2017. 1. 4. 21:05

레이싱(Racing)


원래 BMX의 원어 뜻이 바이시클 모터크로스(Bicycle Motocross)라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듯이、처음에는 비포장 도로로 된 트랙을 속도 경기하는 용도로 시작된 것이 BMX입니다。점프대와 급커브가 조합되어있는 트랙을 8명 내외가 동시에 출발하는 이종목은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BMX인구를 자랑합니다。여성과、어린이、등도 나이별로 나뉘어 시합을하며、20인치(inch)와 24인치(inch) 크루져(Cruiser)부분 으로 다시 나뉩니다。


레이싱 바이크의 특징。


속도를 내는것이 최대목표인 레이싱 모델은、우선 4130 크로몰리(Chrome Molybdenum Steel)가 주류를 이루는 프리스타일 바이크(Freestyle Bike)와는 달리 신소재(6061 Alloy、7000 Series Alloy、Carbon、Titanium)로 프레임을 만들어 경량화 되었습니다。브레이크 또한 현재 추세인 ’V’브레이크를 주로 뒷쪽에만 장착하여 사용됩니다。기어 비율은 F44:R16을 기본으로 트랙의 여건에 따라 교환하여 사용하는 추세입니다。휠은 강도와 경량화를 함께 얻기위해 36홀 또는 32홀이 주로 사용됩니다。타이어는 비포장 도로에 적합한 접지력이 좋은 트레이트 무늬(Trait Patterns)가 뚜렷한 모델이 상용되며、앞쪽에는 코너링을 위해 2.125사이즈가 뒤쪽에는 가속력을 위한 1.75 사이즈 타이어가 주로 사용됩니다。핸들바는 무게가 가벼운 2피스 타잎이 주로사용되며 핸들의 중간 파이프 부분(Cross bar)과 탑파이프 부분에는 스폰지로 된 패드를 부착하여 안전을 돕습니다。



플랫랜드(Flatland)


평지에서 정해진 시간안에 여러 연결된 동작을 보여주는 종목으로、체조의 마루운동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트릭은 크게 스커핑 트릭(Scuffing trick:타이어를 발로 밀면서 주행 또는 회전하는 트릭)、롤링 트릭(Rolling trick:앞바퀴나 뒷바퀴만으로 주행하면 중심을 잡는 트릭)、스트랭스 트릭(Strength trick:핸들이나 안장등에 몸을 지탱하며 버티면서 주행하는 트릭)、홉핑 트릭(Hopping trick:앞바퀴나 뒷바퀴만으로 제자리에서 뛰는 트릭)、스피닝 트릭(Spinning trick:앞바퀴나 뒷바퀴만으로 적은 원을 그리며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트릭)、등으로 나뉩니다。


플랫랜드 바이크의 특징。


탑파이프와 휠베이스가 짧아 다루기 편한 프레임이 사용됩니다。요즘추세는 스템의 길이와 포크에 앞바퀴가 부착되는 위치까지 짧아지는 추세입니다。핸들은 안쪽으로 들어온 스윕(SWEEP)각도가 0도에 가깝고、높이가 7인치(inch)내외의 낮은 핸들이 주로 사용됩니다。타이어는 한바퀴로 주행되는 트릭이 많은 이유로 100기압 이상 공기압을 버틸수있는 고압타이어가 사용되면 타이어 무늬는 스커핑 트릭(Scuffing trick)에 적합한 슬릭(Sleek pattern)에 가까운 무늬를 가진 타이어가 주로 쓰입니다。안장은 주로 손으로 잡고 중심을 잡는데 사용되므로、앞쪽과 뒷쪽을 손으로 잡기편하게 디자인된 모델이 주로 사용되며、전체가 프라스틱으로 된 길이가 짧은 모델이 애용됩니다。페그는 장시간 발바닥이 닿아 중심을 잡기위해、지름이 굵고 잘 미끄러지지 않는 널링(Knurling:많은 사선 무늬가 가공)가공 된 알루미늄 재질이 주로 사용됩니다。앞크랭크는 주행 보다는 여러 트릭시 간섭을 피하기 위해 다소 길이가 짧은(165mm 내외)모델이 애용됩니다。크랭크(Cranks)、스프라켓(Sprocket)역시 잇수가 적은 ’32T’나 ’34T’가 주로 사용됩니다。플랫랜드 바이크의 가장 큰 특징은、프리코스터(Freecoster)가 거의 모두 장착되어 있습니다.

프리코스터(Freecoster)란。바이크가 뒤쪽으로 주행하는 트릭을 할 때、일반 프리휠 이 부착된 휠은 크랭크가 따라 돌아가지만、프리코스터는 뒷쪽으로 반바퀴정도 돌려주면 허브안쪽의 클러치가 분리되어 휠의 움직임에 따라 같이 움직이는 것을 막아주는 역활을 합니다。



램프(Ramp)


나무 또는 철판으로 된 인공적인 곡면을 이용해 공중에서 여러동작을 보여주는 이 종목은、BMX종목 중 가장 위험하고 스릴있는 종목으로、바이크 또한 이러한 용도에 적합하게 제작되어 있습니다。트릭은 램프의 모서리 부분을 페그를 순각적으로 걸치고 미끄러져가는 그라인더트릭(Grinder trick)、바이크의 차체만을 회전시키는 테일윕(Tail whip)、두손 두발을 각각 또는 동시에 바이크에서 분리하는 트릭(?)、바이크와 라이더가 동시에 회전하는 540Air、900Air、뒷쪽으로 바이크와 라이더가 동시에 360도 회전하는 플립(Flip)기술등이 있습니다。


램프 바이크의 특징。


공중 동작의 안정감을 위해 탑파이프가 20인치(inch)이상인 좀 더 긴 프레임이 사용되며、타이어 또한 100기압 이상을 견디는 고압타이어가 주로 사용됩니다。안장은 쿳션이 좋은 패드 소재의 면에 큰 충격을 견딜수 있게 안장 레일이 오버사이즈 되는 추세입니다。허브(Hub)또한 축의 지름이 14mm 또는 1/4 인치(inch)지름을 가진 오버사이즈가 주로 사용됩니다。허브 또한 베어링이 오버사이즈 되며 실드베어링(Sealed Bearing)이 양쪽에 2개씩 장착된 허브도 선보이고 있습니다。페그(Pegs)는 발로 밟는 용도 보다는 레일 등에 그라인더를 주로 하는 이유로 지름이 적고 잘미끄러지는 무늬가 가공된 모델이 애용됩니다。재질 또한 큰 강도를 견디기 위해 스틸로 된 모델이 주류입니다。



더트점프(Dirt Jump)


말그대로 흙으로 만든 점프대를 이용해서 점프를 하며 공중 동작을 보여주는 종목입니다。예전에는 레이싱 종목의 이벤트성 종목이었지만、그인구가 90년대 들어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각 메이커 에서는 더트점프(Dirt Jump)모델을 주 모델로 삼는 경우도 있습니다。램프에서 할 수 있는 모든 트릭을 직선으로 설치된 흙 점프대를 이용해서 하며、미국에서는 현재 프리스타일(Freestyle)인구중 60%가 더트점프(Dirt Jump)라이더라는 조사 내용도 있습니다。


더트점프 바이크의 특징。


레이싱(Racing)과 램프라이딩(Ramp)모델의 특성을 혼합한 더트점프(Dirt Jump)모델은 긴 휠베이스와 2피스 핸들바가 주로 장착되어있습니다。타이어는 레이싱 타이어에 강도를 더한 모델이 주로 사용되며、레이싱과 마찬가지로 오프로드(Off-road)에 적합한 무늬의 모델이 사용됩니다。브레이크(Brake)는 프리스타일(Freestyle)에서 주로 사용되는 U브레이크가 뒷쪽만 장착되어 주로 사용됩니다。더트점프(Dirt Jump)라이더 중에서는 레이싱모델과 프리스타일모델 한쪽에 치우친 모델을 사용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Posted by ケイ君
Ⅰ。My Hobby/3。BMX2017. 1. 4. 20:29

BMX의 종류를 말하자면 기본적으로 4가지 종목으로 나누어집니다。

1-리얼스트릿(Real Street)、2-플랫랜드(Flatland)、3-더트점프(Dirt Jump)、4-램프(Ramp) 입니다。


이 4가지 종목 중 우리나라에서 동호인분들이 많이 즐기시는 것은、리얼스트릿(Street)과 플랫랜드(Flat)의 2가지 종목입니다。


스트릿과 플랫용의 BMX의 차이점은 강도와 무게를 차이로 둘 수 있습니다。


스트릿BMX는 강도가 강하며、프레임의 사이즈가 20~21인치(inch)가 주류를 이룹니다。

무게는 10Kg~16Kg 사이이며、좀더 나가는 제품도 있습니다。


플랫BMX는 강도가 조금 약하며、프레임의 사이즈는 18인치(inch)를 조금 웃도는 사이즈입니다。

무게는 10Kg~12Kg 사이이며、스트릿보다 가벼운 편입니다。

플랫BMX의 강도가 약하다고 해서 일반자전거와 비교하시면 않됩니다。

스트릿BMX 보다 약하다는 것이지、플랫BMX의 강도 또한 상당합니다。

소재가 티타늄(Titanium)이나 크리몰리(Chrome Molybdenum Steel)소재를 사용하는 제품이 많습니다。



외관상 차이는 플랫BMX가 스트릿BMX 보다 작습니다。그 이 외에 기술적인 부분의 차이가 있는데 전문가 아닌 이상 일반인들은 잘 구분을 못합니다。외관의 차이를 구분하기 힘듭니다。(헤드튜브의 각이라든지、시트포스트의 각이라든지…。)


BMX엔 흔히들 ”완성차가 없다?”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많은 곳에서 완성차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호프만 바이크(Hoffman Bikes)社의 디스럽터(Disrupter)’IL1’、’IL2’、위더피플(WeThePeople)社의 ’NOVA’ 등…。여러 BMX 생산업체의 완성차가 있으며、완성품이 조립품보다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입문하는 분들은 조립을 하지 않고 완성차로 시작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또한가지、국내산 BMX는 없습니다。모두 수입품입니다。아주 오래전에 코렉스(COREX)에서 만든적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이젠 전혀 없습니다。



입문용 BMX의 가격대는 완성차가 30만원대부터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 20만원대도 있지만…。20만원 후반대라 30만원에 가깝다는게 현실입니다…。(orz…。)

그리고 위의 가격보다 저렴한 제품이 있기는 하지만 추천사양이 아닙니다。


그저 ”나도 BMX를 가지고 있다”라는 것만으로 만족한다면 30만원대 미만의 제품을 장만해도 아무런 문제는 없습니다。하지만 기술을 읶히고 BMX의 세계로 본격적으로 들어서려면 처음에 입문용 제품을 어느 정도 금액을 투자 하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로、유사BMX를 유사MTB처럼 생각하시면 큰 오산입니다。

유사MTB가 많이 보급 된 이유는 주행만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때문이다。


BMX의 경우는 과격한 라이딩을 하기 때문에、유사BMX를 이용하여 타면 금방 휘거나 부서지거나 합니다。그렇기 때문에 유사BMX는 비추천합니다。(필자도 처음에 American Eagle社 ’Jumper 3000’을 구매한 적이 있으나、내구력은 일반적인 유사 MTB 수준입니다。)

(주력 기술에 따라 다르지만、스트릿의 경우엔 프레임과 구동계열에、플랫의 경우 스포크와 휠에 많은 무리가 갑니다。)끝내는 구매를 후회하거나 수리비가 입문용 완성차 가격을 넘게된다는 것 입니다…。



BMX는 시작하면서 부터 상당한 금액이 들수도 있고、들어가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건 어디까지나 자신의 마음가짐에 달려있습니다。

부품의 업그레이드와 튜닝의 시작은…。곧、과소비의 시작이 됩니다…。

(필자 또한 그렇게 사게 된 부품들이 한편에 자릴 잡고 있습니다…。)

Posted by ケイ君
Ⅰ。My Hobby/3。BMX2017. 1. 4. 19:03

BMX


바퀴 사이즈가 통상 20인치(inch)이며、보편적으로 스트릿(Street Riding)용과 플랫랜드(Flatland)용으로 구분됩니다。기어는 절대 없으며、MTB나 유사MTB 처럼샥이라느 것도 있지 않습니다。

자전거가 작아서 가벼워 보일 수도 있지만、평균 10~15Kg 사이로 크기에 비해 무겁습니다。

하지만、그만큼 내구성이 높습니다。묘기용이기 때문에 왠만큼 강한 충격도 잘 버텨줍니다。

특히、바퀴옆에 ’페그’라는게 달려있어、계단 난간이나 레일을 탈 수 있습니다。


추가:BMX란 명칭은 ’Bicycle Motocross’의 약자로

오토바이 경기종목중 하나인 ’모토크로스액션’(Motocross-Action)을 흉내내면서 나온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BMX 핸들은 자이로(GYRO)라는게 달려있어、핸들이 360도 회전해도 브레이크 케이블이 꼬이지 않습니다。



20inch Trial bike


26inch Trial bike



Trial bike


26인치(inch)와 20인치(inch)두 종류로 구분되며、제동력이 생명이므로 브레이크가 ’칼’같아야 합니다。핸들바가 길며 안장이 없습니다。이유는 주행용이 아닌 머쉰이기 때문입니다。


추가:24인치(inch)도 나오고 있습니다。

트라이얼(Trial)은 BMX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Urban


BMX 펑튀기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트라이얼(Trial)기술까지 쓸 수 있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추가 : 트라이얼(Trial)에서 발전된 형태。

트라이얼로 BMX기술을 쓰면서 어반으로 발전。

도시에서 탄다고 모두 어반이 아니며、수 많은 트릭 중 계단 드랍은 옵션에 불과한 트릭。

드랍위주의 기술만을 구사한다면、그건 ’다운힐’입니다。



출처 : 모빅님의 Naver Blog

'Ⅰ。My Hobby > 3。BMX' 카테고리의 다른 글

BMX에 관하여…。  (0) 2017.01.04
BMX에 입문하려는 사람들에게…。  (0) 2017.01.04
[WTP:we the people]VERSUS 2011、필자 BMX의 제원。  (0) 2017.01.04
BMX 부분명칭。  (0) 2017.01.04
BMX란?  (0) 2017.01.04
Posted by ケイ君
Ⅰ。My Hobby/3。BMX2017. 1. 4. 17:44

필자의 BMX는 중급자용 완성차이며 ’Street Riding’용이다。

스트릿 라이딩은 램프처럼 인공적 구조물을 이용하는 것이 아닌、벤치 혹은 난간 등의 구조물을 이용하는 방식의 라이딩을 의미한다。




2011 WTP VERSUS:matt anthracite


COLOR:Matt Anthracite(matt grey)

FRAME:4130 full CrMo, 20.8" TT / 13.25" CS / 75°HT

퀵리스폰스의 숏 리어엔드 적용 풀크로몰리 프레임

FORK:full 4130 CrMo fork, 1pc bulged CrMo steerer

1피스 구조의 스티어링 튜빙의 4130 크로몰리 포크 장착

BARS:full 4130 CrMo bar, 8" height

GRIPS:wethepeople “All Day” grips, Mike Brennan signature

STEM:new Salt Expert full CNC Alloy front loading stem

풀cnc프론트 로딩 스템장착

HEADSET:Salt int. headset, cartridge type

GYRO:NO / holes for removable gyro tabs

LEVER:Salt “Moto” Alloy brake lever

BRAKES:Salt “Moto” Alloy u-brake rear

CRANKS:Salt AM tubular 3pc crank CrMo 175mm, 8 spline

BB:Salt mid size BB, press fit, sealed bearing

PEDALS:éclat “Surge” PC pedals

CHAIN:Salt AM chain, 510H type

SPROCKET:Salt Plus 6061 T6 Alloy, CNC, 25T sprocket

DRIVER:9T 1-piece cassette driver, sealed bearing

FRONT HUB:new Salt AM hub, sealed bearing 3/8"s, 36H low flange

REAR HUB:new Salt AM cassette hub, sb, 9T, 14mm axle, 36H

FRONT RIM:Salt Plus aero double wall rim, 36H, colored anodized 36H

더블월 구조의 에어로 림

REAR RIM:Salt Plus straight double wall rim, 36H, colored anod.36H

더블월 구조의 스트라이트 림

SEAT:éclat “Unify” seat combo

최적의 안장 포지션을 가능하게 한 초경량 일체형 시트

SEAT POST:integrated in “Unify” seat

SEAT CLAMP:integrated slim Steel seat clamp

TIRES:Salt tires “Pitch Flow” 2.25" front & 2.1" rear

최근 추세를 반영한 광폭 타이어 전후휸 장착으로 트릭 구사시 탁월한 안정감과 충격흡수

PEGS:new Salt AM Steel pegs (1 pair) WEIGHT 11.350 kg

(실측무게、페달포함)


wethepeople has always been committed to ensuring that riders regardless of budget can be assured that they access the best bike within theirs. Our extensive frame building knowledge and access to quality parts ensure that. The Versus continues that theme and combines a full CrMo frameset package, sealed hubs - obviously the rear as cassette, éclat one piece Unify seat, CNC’d sprocket and stem, double wall rims and Pro contact points in wethepeople Mike Brennan grips and éclat Surge PC pedals.

 

  • FULL CRMO FRAME, FORK AND HANDLEBAR
  • BUTTED & TAPERED DOWN TUBE
  • SALT SEALED FRONT HUB AND CASSETTE
  • WETHEPEOPLE “ALL DAY” GRIPS
  • ÉCLAT “SURGE“ PC PEDALS
  • INTEGRATED HEADSET / MID SIZE SB BB
  • SALT FULL CNC EXPERT STEM
  • SALT PLUS CNC ALLOY SPROCKET
  • ÉCLAT “UNIFY” SEAT
  • SALT PLUS DOUBLE WALL RIM IN FRONT AND REAR
  • SALT “PITCH RAW” & “PITCH FLOW” TIRE


'Ⅰ。My Hobby > 3。BMX' 카테고리의 다른 글

BMX에 입문하려는 사람들에게…。  (0) 2017.01.04
’BMX、Trial、Urban’의 차이점…。  (0) 2017.01.04
BMX 부분명칭。  (0) 2017.01.04
BMX란?  (0) 2017.01.04
익스트림 스포츠[Extreme Sports]  (0) 2017.01.04
Posted by ケイ君
Ⅰ。My Hobby/3。BMX2017. 1. 4. 16:03

BMX를 구매하기전에 명칭에 대해 알아보자。

본인의 BMX 제원을 알게 되면、후에 부품의 노후화에 의한 교체나、부품 업그레이드시 많은 도움이 된다。 



출처4130바이크

Posted by ケイ君
Ⅰ。My Hobby/3。BMX2017. 1. 4. 12:55

한마디로 묘기용 자전거죠…。^^;

소위 사람들이 말하는 ’묘기 자전거’ 에는 크게 세가지로 구분됩니다。

BMX、트라이얼(Trials bike)、그리고 어반(Urban)、등등…。


BMX에 관심을 가지게 되셨다니 이미 반은 오신겁니다。ㅎㅎ

덩치가 얼마나 크신지 모르겠지만 장신 BMX 라이더들이 굉장히 많습니다。(키 185이상…)

저도 키 175에 덩치가 꽤 있습니다만 제게 맞게 약간 사이즈가 큰 부품으로 커스텀해서 타고 있습니다.  BMX는 자신에게 맞는 세팅만으로 키나 덩치에 상관없이 모두 공용할 수 있거든요。(물론 이겠지만 세부적인 사이즈는 취향에 따라 다릅니다만 큰 영향은 없습니다。)


BMX가 약해보여서 트라이얼을 하시겠다는거라면 BMX가 트라이얼보다 훨씬 튼튼하다는 것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바퀴가 크다고 튼튼한것이 아니죠…。BMX는 일단 트라이얼보다 훨씬 빠른속도에서의 기술구사、높은곳에서의 드롭과 계속되는 충격에 버티도록 강한 재질、그리고 두껍고 튼튼한 파이핑으로 만들어져 있습니다。그리고 BMX가 가진 20인치 휠 사이즈는 롤링과 내구성을 동시에 가진 최적의 사이즈라고들 합니다。


BMX는 절대 가볍지 않습니다。아주 비싼모델이 아니면 웬만한 MTB보다 무거우니까요…。

트라이얼은 MTB로 분류됩니다。다만 트라이얼 기술을 하기 좋게 개조된것 뿐이죠…。가볍게 만들기 위해 알루미늄 프레임을 쓰고 다른 부품들도 대부분 알루미늄이 주류입니다。무게와 강도는 반비례 합니다…。어느정도。

그리고 트라이얼은 좀 비쌉니다…。트라이얼은 엔트리급 완성차가 100만원대 입니다。

요즘은 종류를 따지지않고 자유롭게 탈 수 있도록 하는 프리라이딩MTB들이 스트릿MTB(혹은 프리스타일 MTB)로 발전하면서 BMX의 심플함과 견고성을 갖춤과 동시에、트라이얼같은 쭉뻗은 프레임과 큰 바퀴를 가진 어반(Urban)、혹은 슈퍼크로스(Supercross)라는 새로운 장르가 생겨 났습니다。BMX+트라이얼+MTB 의 결합체라고 볼 수 있는 자전거 들이죠…。


대충 2000년 직후에 시작되었고 한국에는 조금 늦게 시작했지만…。

여하튼、이 자전거들은 트라이얼처럼 일자로 뻗은 심플한 프레임에 안장이 달려있고、BMX와 같은 1단기어와、몇가지 BMX부품을 공유할 수 있으며、트라이얼과 BMX의 중간사이즈인 24인치 휠을 주로 쓰는데 사람에 따라서 앞과 뒤에 다른 크기의 바퀴를 달기도 합니다…。

간단하게 말하면 이렇지만 자전거는 워낙 부품들이 표준화 되있기 때문에 스트릿 라이딩을 즐기는 많은 라이더들은 이것저것 여러종류의 부품을 섞어서 자신만의 독특한 스타일의 자전거를 만들어서 탑니다。

그 종류는 수십가지에 달합니다。그래서 부르는 이름도 다양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정확히 어떤 자전거가 어떤 분류다~ 라고 구분지을 수 는 없습니다.  그런종류의 자전거는 보통 모두 스트릿MTB로 통칭합니다。

결론은…。어반자전거가 님에게 딱 맞겠다는 생각입니다。BMX에 가깝게 튼튼하면서 바퀴가 조금 크고、안장이 달려있고、트라이얼과 BMX기술을 각각 어느정도 구사할 수 있으니까요。


하지만 트라이얼/어반/슈퍼크로스/프리라이딩(Free Riding)자전거는 일단 MTB에 속하기 때문에 값이 비쌉니다…。게다가 워낙 이 네가지 종류가 구별선 없이 애매하게 섞여있기 때문에 정확하게 나뉘어져 있는 완성 자전거가 잘 나오지 않고 전문회사에서 생산된 프레임만을 가지고 라이더들이 자신이 원하는대로 커스텀 제작을 하는게 대부분입니다。

제가 좀 횡설수설 했는지 모르겠습니다。

도움되셨기를…。

Posted by ケイ君
Ⅰ。My Hobby/3。BMX2017. 1. 4. 12:25

익스트림 게임X게임위험 스포츠극한 스포츠라고도 함. 빠른 스피드와 위험을 즐기는 스포츠.

익스트림 스포츠는 인라인 스케이팅, 웨이크보딩, 스트리트 루지, 스케이트보딩, 프리스타일 자전거 등으로 고난이도 묘기를 즐기는 스포츠이다.

익스트림 스포츠는 1990년대에 들어와 사람들의 상상력과 여가 시간 속으로 파고들어왔는데, 미국에서 많은 인기를 끌었다. 특히 축구, 야구 등 전통적인 스포츠를 멀리 하면서 인라인 스케이팅이나 스노보딩 등과 같은 과격한 스포츠나 아드레날린 분비를 촉진하는 놀이에 탐닉하는 사람, 속도광 등이 늘어나면서 점차 확산되기 시작했다. 1995년 미국 유선 텔레비전 스포츠 네트워크인 이에스피엔(ESPN)이 주관하는 제1회 익스트림 게임이 시작되며 점차 대중화 되었다.



출처네이버 검색

Posted by ケイ君